서론
개인 PC가 필요해졌다. 용도는 작은 데이터 딥러닝 & 게이밍 용도.
큰 데이터는 서버를 사용할 예정이고,
꼭 PC에서 학습을 해야하는 데이터의 경우 아주 작게라도 돌려보려고 두 용도를 고려한 PC를 맞추려 한다.
게이밍도 좋은 옵션을 원하는 건 아니고 평균 옵션이 잘 돌아가면 된다. 게임 옵션 욕심은 거의 없기에...
예산은 150으로 잡았다가 점점 올라가는 중.. 200 안쪽으로 할 예정이다.
난 PC 하나도 모르는 완전 초보여서 하나하나 알아보기 시작한 사람이기에 나중에 까먹지 않도록
간단히 알아본 순서대로 제품을 본 히스토리, 성능 고민, 고려할 사항 정도를 적는다.
최대한 놓치지 않고 적기 위해 조금 편하게 작성해본다.
조립 PC 스따뜨
알아본 순서
보통 필요한 부품은 아래 8가지이다.
GPU, CPU -> RAM, SSD -> 메인보드 -> 파워, 쿨러 -> 케이스
순서는 내가 성능을 먼저 따져보고 싶은 애들 순으로 찾아보기 시작했다.
*모든 장비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이나 최신 사양이 달라진다. 지금은 2021-12-12 이다.
1. CPU
AMD 라이젠5 5600X | 320,000 |
AMD 라이젠7 5800X | 450,000 |
AMD 라이젠9 5900X | 650,000 |
브랜드 - 인텔과 라이젠
라이젠이 가성비가 좋단 말이 많다. 그냥 가성비만 좋은거면 불안해서 사지 않을텐데, 알아보니 그냥 다들 쓰는 당연한 CPU이다. 그래서 라이젠으로 결정
모델 - 라이젠 5600X
조립 PC에서 굉장히 많이 보이는데 얘 성능이 낮은건 절대 아닌거같다. a. 아마 딥러닝 땐 데이터 전처리 때 CPU가 사용될 것 같고, 학습 땐 GPU가 사용될 것 같다. b. 찾아보니 게임도 5600X로 엄청 사양 높은 게임을 한다. c. 난 영상편집은 하지 않는다.이 세가지를 봤을 때 5600X가 충분하다? 좋다? 정도인거 같다!
모델 - 인텔
i5- 115xx 이나 i7-117xx중에 고민했다. (11세대)그러다 둘의 중간쯤인? 라이젠을 선택했다.
주의
CPU가 인텔이냐 AMD를 결정했으면 메인보드를 선택할 때 두 CPU 중 호환되는 제품을 골라야 한다.
2. 그래픽카드 (VGA)
ASUS | AMD NVIDIA |
DUAL ROG-STRIX TUF-GAMING |
Geforce RTX 3060 - 12G Geforce RTX 3060Ti - 8G Geforce RTX 3070 - 12G Geforce RTX 3070Ti - 12G Geforce RTX 3080 - 12G Geforce RTX 3080Ti - 12G |
100만원 ~ ~ ~ ~ 250만원 |
MSI |
제품 이름 해석
ASUS TUF-GAMING Geforce RTX 3060 - 12G
브랜드 쿨링등기타성능 그래픽카드자체성능 - 램 (아닌가..?)
숫자의 의미 - 성능 차이
- 60-70-80 숫자가 바뀔수록 코어와 스레드 수가 차이가 난다. (물론 다른거도 있긴 하겠다만)
뭘 써야 하는지 고민이 많이 되었는데, 우선 게임은 다 돌아가는 것 같다.
결국 모델 학습할 때 얼만큼의 코어와 스레드를 쓸 수 있냐(학습이 빠르냐 or 배치를 크게 만들 수 있냐) 의 차이같은데,
숫자별로 성능이 차근차근 높아지는 형태라 3060 이상부턴 코어랑 스레드 수치를 보며 가격 한도 내 최대치를 사는게 맞지 않나 싶다.
- 1000, 2000, 3000은 세대넘버다. 보급 PC를 사려는건 아니기에 우선 3000번대로 사용을 할 예정이다.
잡다한 네이밍 - 기타 성능
- 같은 3060이어도 듀얼, 터프 등 앞에 붙어있는 걸 볼 수 있다.
뭔가 싶어 간략하게 뒤져본 결과라 틀릴수도 있다.
DUAL : 미니 사이즈 (사진보니 얘만 팬이 2개다)
ROG-STRIX : 기본 성능, RGB 반짝반짝
TUF-GAMING : 쿨링 및 안정성이 더 좋음
우선 기본 사양을 정했다면 브랜드, 기타 종류 별로 어떤걸 살지는 유튜브로 찾아보았다.
그래픽카드의 가격
- 현재 기준 그래픽 카드의 가격은 미쳤다고 한다. 예전에 60만원? 하던게 지금 100만원 정도다. (기존 100만원은 현 250만원쯤으로..?)
- 23년 말에 4000번대 그래픽이 나온다는 말이 있다.
- 가격이 오른 이유는 용산 사재기와 코인을 채굴하기 위해 전문 채굴장들이 다 쓸어가버려서다.
기타
- 그냥 3060이면 다 같은줄 알았는데 또 브랜드가 다르다. asus, msi, gigabyte 정도가 좋은 브랜드라는거 같다.
- 셋 중 제일 as가 좋은 브랜드는 ASUS라고 한다.
RTX 2060 - 6GB VS RTX 3060 - 12GB
RTX 2060 | RTX 3060Ti / RTX 3060 |
![]() |
![]() |
3. RAM (메모리)
삼성 DDR4 8GB 25600 | 40,000 |
삼성전자 DDR4 16GB 3200 | 80,000 |
구성법
램은 보통 2개를 끼워서 원하는 스펙을 완성한다.
즉 16GB 램을 쓰려 한다면 8GB를 두개 사는 것.
이를 듀얼채널이라고도 하는데, 16GB 하나(= 싱글채널)가 아닌 왜 8GB를 두개하느냐?
같은 메모리라도 듀얼로 구성할 때 성능이 더 좋다고 한다.
세대
DDR 3,4 는 세대로 볼 수 있으며 대역폭의 전송 크기가 바뀐다.
요즘은 DDR5가 시작되고 있다.
메인보드를 살 때 이 숫자별로 호환되는 메인보드를 사야한다.
브랜드
실제로 삼성 DDR4가 많이 사용하는 제품이고 시금치로도 부른다.
또 다른건 RGB가 되는 어떤 브랜드가 있는데, RGB를 원하지 않기에 이 램을 쓴다.
숫자
3200, 2666 등은 3200mhz의 동작 속도를 의미한다.
이름에 21300이면 2666mhz, 25600이면 3200mhz이다.
사이즈는 어떤걸 사야할까
- 8GB x2 해서 16GB가 무난한 설정이다.
- 16GB 하나를 꽂아놓고 나중에 필요하면 16GB를 하나 더 꽂아 32GB를 만드는 선택지도 있다.
나중에 램을 늘리고 싶어할 것 같으면 고려하는 방식이다.
- 개인적으론 학습을 돌려놓고, 게임을 하는 경우를 생각해봤을때 좀 큰 걸 해놔도 좋을 것 같았다. (잘 모른다 ㅎ) 그래서 후자 선택.
- 아 ram은 GPU 램과 같거나 그 이상으로 보면 된다는 걸 어디서 본거같기도 하다..
4. SSD
삼성 PM9A1 M.2 NVMe 512GB | 80,000 |
삼성 PM9A1 M.2 NVMe 1T | 150,000 |
SK하이닉스 Gold P31 M.2 NVMe (500GB) | 100,000 |
용량
큰 고민은 하지 않고 사용중인 노트북 용량이 256인걸 보고 512로 결정
5. 메인보드
ASUS TUF Gaming B550-PRO 대원CTS | 210,000 |
ASUS TUF Gaming B550-PLUS 대원CTS | 175,000 |
ASUS TUF Gaming B550-PLUS wifi | 202,000 |
ASUS TUF Gaming B550M-PLUS (Wi-Fi) STCOM | 210,000 |
MSI MAG B550M 박격포
|
170,000 |
MSI 게이밍 엣지 WIFI | 230,000 |
GIGABYTE B550M AORUS ELITE 제이씨현
|
120,000 link |
GIGABYTE B550M AORUS ELITE 피씨디렉트
|
180,000 link |
GIGABYTE X570 AORUS ELITE 제이씨현 | 190,000 |
GIGABYTE X570 AORUS ELITE 피씨디렉트 | 235,000 |
GIGABYTE X570S AORUS ELITE 피씨디렉트 | 265,000 link |
https://godhaword.tistory.com/93 이걸 보고 어느정도 메인보드를 이해하게 되었다. 메인보드 구조를 인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용도
CPU, 그래픽카드, SSD, RAM, CPU쿨러, 기타 전선 을 장착해서 합치는 보드이다.
또한 컴퓨터 본체 뒤에 달린 usb, hdmi, 랜선 꽂이 등이 여기에 달려있다.
CPU와 메인보드
인텔CPU와 라이젠CPU에 따라 메인보드가 다르다.
추가로, 인텔 12세대사용시 Z690을 권장하는데 i5에 Z690은 메인보드 가격이 너무 비싸 아까운 것 같다.
i5에 B660이 좋을텐데, 아직 B660은 출시 전이다.
i7, i9 정도에 Z690을 사용하는건 좋지만 그만큼 스펙을 무리할 만큼은 현재 필요치 않다..
와이파이
wifi 표시가 있어야 와이파이로도의 연결 및 블루투스가 가능하다.
유통사
대원CTS, 아이보라 등은 유통사이며 AS시 해당 업체가 진행한다. AS 후기를 살펴보고 고르도록 한다.
ATX / M-ATX
기본 메인보드 사이즈는 ATX이며, 더 작은 버전은 M-ATX로 네이밍에 B550M 처럼 M이 붙어있다.
사이즈가 작아 케이스를 미니타워로 쓸 경우 사용한다.
6. 파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600W | 53,000 link |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00W 80PLUS EU | 77,000 link |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50W 80PLUS GOLD 230V EU | 97,000 link |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50W 80PLUS EU Gold 풀모듈러 | 115,000 link |
파워서플라이, PSU가 이것이다.
정격 파워
어떤 파워를 쓸 지 헷갈린다면, 그래픽카드를 볼 때 세부설명에 권장 파워가 나와있다.
또 찾아보니 파워를 40%~60% 정도 사용하는게 최고 효율이 난다고 한다.
파워를 권장보다 높이 쓴다고 전기세가 더 나오진 않는다. 필요한 전기만 공급되기 때문.
등급
plus80이 붙어야 80% 이상 안정적 전기 공급이 이루어진다는 인증마크여서, 소위 뻥파워를 피하기 위해 붙은 걸 사는게 좋다.
여기서 추가로 등급에 따라 효율이 더 좋아지는데 GOLD가 붙은건 전력 소비를 8~ 10%정도 줄여주는 제품이다.
스탠다드 < 브론즈 < 실버 < 골드 < 플래티넘 < 티타늄 순으로 전력 효율이 좋다.
풀모듈러
파워 본체에 원하는 선만 꽂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품이며, 그렇기에 선 정리나 케이스 내부 공간 사용에 용이하다.
브랜드
정확하진 않지만 좋은 네이밍 브랜드 중 하나는 시소닉.
가성비 브랜드 중 하나는 마이크로닉스.
7. 쿨러
팔라딘 400 | 30,000 |
CPU 위에 붙이는 하나짜리 쿨러이다.
CPU를 메인보드에 장착한 후 쿨러에 동봉된 써멀구리스를 바른 뒤 쿨러를 장착한다.
케이스에 붙이는 쿨러는 다른것이며(납작하게 생김), 보통 조립 견적을 잡을 때 쿨러라 하면 CPU 쿨러를 얘기한다.
8.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EM1-Woofer | 47,000 link | ![]() |
마이크로닉스 GM1-TRANSFORM (화이트) | 70,500 link | ![]() |
BRAVOTEC 트레저 X7 720T 타이탄 글래스 (화이트) | 65,000 link | ![]() |
3RSYS R480 (WHITE) | 53,000 link | ![]() |
아이구주 HATCH 14 프리모 메쉬 강화유리 (화이트) | 75,000 link | ![]() |
리안리 PC-O11 AIR Mini (White) | 160,000 link | ![]() |
NZXT H510 (Matte White) | 110,000 link | ![]() |
주의
여기서 주의할 건
미니 버전의 케이스가 있을텐데, 그건 지금 맞춘 그리고 맞출 부품들이 안들어가는 케이스다.
그냥 미들 타워 중 잘 고르도록 한다.
미니타워
보통 케이스는 미들 타워 사이즈이며, 이보다 작은 케이스는 미니 타워 케이스이다.
미니타워 케이스는 메인보드나 파워의 크기를 고려해서 사야한다.
메인보드는 M-ATX 나 ITX 사이즈를 구매해야 하나, 기본 ATX 사이즈가 들어가는것도 있긴 있다.
파워도 미니사이즈의 파워를 맞춰줘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작은 사이즈의 파워는 아주 비싸다.
미니타워는 특히 케이스를 고를 때 상세 설명을 읽고 부품들의 사이즈를 맞춰 사도록 한다.
이렇게 8개 부품을 사면 완료이다.
추가로 뭘 더 붙이고 싶다면 알아보고 나중에 추가해도 된다.
고민을 거듭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최종 조립 사양
인텔 12세대 i7 | RTX 3060 | 32GB | 500GB | 750W
CPU | link | 인텔 코어i7-12세대 12700F (엘더레이크) | 약 400,000 |
RAM | link | 삼성 DDR4 16GB 25600 X 2 | 157,660 |
MAIN | link | ASUS TUF Gaming H670-PRO WIFI D4 STCOM | 272,040 |
쿨러 | link | 팔라딘 400 | 30,960 |
SSD | link | SK하이닉스 Gold P31 M.2 NVMe (500GB) | 100,500 |
케이스 | link | 리안리 PC-O11 AIR Mini (White) | 161,480 |
파워 | link | 시소닉 FOCUS GOLD GX-750 WHITE Full Modular | 157,000 |
그래픽카드 | link | ASUS TUF Gaming 지포스 RTX 3060 O12G OC D6 12GB | 984,910 |
= 2,264,550 원 |
- 파워를 나중에 그래픽 카드를 바꿀걸 생각하여 넉넉히 할까 고민했지만,
파워 수명이 제일 길지 않기에 그래픽카드 교체쯤엔 파워를 같이 교체해야 할 것 같다.
- 메인보드 또한 나중 CPU 업그레이드를 생각하여 높은 사양을 고민했다.
하지만 그 쯤이면 메인보드도 다음 세대가 나올것이기에 CPU 교체 시 메인보드도 같이 교체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다나와에서 최저가로 구입중이다.
그와중에 알게된것은 최저가가 아니더라도 청구 할인이 있다면 최저가보다 싼 경우가 많다. 맞는 카드 있는지 꼭꼭 보자..
위 가격은 배송비 포함 실 결제가이다.
- 예산 완전 오바~~~
결과
추가 정보
1. 조립 땐 드라이버와 장갑, 유튜브 공부한 것만 있으면 된다.
2. 조립 처음 해도 무지 할 만하다!
3. 윈도우 정품 사는데 17만원 더 든다..
-
'기타 > 장비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X 3060, 3070 시세 기록 (0) | 2021.12.13 |
---|---|
맥os와 머신러닝 (0) | 2021.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