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Github
![[GitLab] CI/CD 사용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xepB%2FbtrGRG1OSIi%2FGnlonEnGa7uJk28XEeBc70%2Fimg.png)
[GitLab] CI/CD 사용하기
실습해본 링크 : https://gitlab.com/baeksh0420/sagemaker_test 목표 깃랩에 모델 작성 도커 이미지 생성 commit으로 깃랩의 CI/CD 실행 AWS의 ECR로 생성된 도커 이미지 전송 필요한 파일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gitlab-ci.yml : CI/CD를 실행 시킨다. 또한 ECR과 연결되도록 한다. Dockerfile : 도커 이미지를 생성한다. .py및 data파일에 모델 학습에 필요한 코드, 데이터가 포함된다. .gitlab-ci.yml # Simple example of CI to build a Docker container and push it to Amazon ECR variables: DOCKER_REGISTRY: 426872458034.dkr.e..
![[Github/Colab] SSH 키 발급 & colab에 Git 클론](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CFsFa%2FbtrB5zzri6w%2FJ2imO9vvsYsM18ybKIdgb0%2Fimg.png)
[Github/Colab] SSH 키 발급 & colab에 Git 클론
깃허브의 private repository를 코랩에 클론하기 위한 방법이다. SSH 키를 발급받아 등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public repository 연동 : 2022.04.30 - Colab과 github 연동 SSH 키 발급 방법 1. 코랩에 들어간다. 2. ssh-keygen 을 입력한다. !ssh-keygen 3. 키가 저장된 곳으로 접근하고 %cd ~/.ssh/ 4. 저장된 공개키를 불러온다. 공개키는 id_rsa.pub이며, 개인키는 id_rsa이다. ! cat id_rsa.pub Git에 키 등록 후 클론 1. 깃허브에 해당 공개키를 복사하여 등록한다. 2. known_hosts에 깃주소를 등록한다. !ssh-keyscan -t rsa github.com >> ~/.ssh/known_..
![[Github] Github 계정 인증 오류 : github 토큰 발급](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En0iP%2FbtrAXA6hNwL%2FJpME1Ooud2FEPOeL5HzHzk%2Fimg.png)
[Github] Github 계정 인증 오류 : github 토큰 발급
github에 push시 계정 인증 오류가 날 경우 해결 방법을 찾는다. 이 경우, 토큰을 발급받아 비밀번호 대신 사용해야 한다! 참고 링크 : [Mac] GitHub push token 오류 해결 2. 토큰 발급 후 -> 3. 터미널에 입력한다. 1. 깃허브 설정에서 personal access token 에 들어간다. 아래 이미지 순서대로 클릭 2. 새 토큰을 생성한다. Generate new token 클릭 Note 입력, 만료 날짜 선택 아무 이름이나 넣고, 만료되지 않도록 해버렸다. 깃허브는 만료 날짜를 지정하는 것을 추천하긴 한다. 접근 범위 선택 나중에 귀찮아질까봐 다 체크했다. 생성된 토큰 번호 복사 3. 토큰을 사용한다. 맥북 키체인에서 github 로그인 정보를 삭제해야 한다하지만, 나..
![[Github/Colab] Colab과 github 연동](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qzcal%2FbtrBkEUYvJb%2FcEeNCHR9ggKWzuOeG53oIK%2Fimg.png)
[Github/Colab] Colab과 github 연동
google drive에 올려진 파일을 github와 연동해서 쓰려고 한다. 순서는 크게 아래 3단계를 따른다. 이는 public repository와 구글 드라이브를 연동하기 위한 방법이며, private 연동 방법은 링크 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접근을 위해 깃허브에서 토큰을 발급받아야 한다. 깃허브 계정 Setting 에 들어가서 아래 순서로 접근하면 발급받을 수 있다. 자세한 가이드가 필요하다면 이걸 따라하면 된다 : Github 계정 인증 오류 : github 토큰 발급 2. 연결할 repository의 주소를 복사한다. 3. 코랩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1) 깃을 클론할 상위 폴더로 경로 이동 (clone 시 상위폴더/깃레포지토리 형태가 되기 때문!) %cd /content/drive..
![[Github] 깃 초간단 내용 요약](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dnSUF%2FbtrAoECap7f%2FqFagyux1AZdTvy1apwj5F1%2Fimg.png)
[Github] 깃 초간단 내용 요약
깃이란? 프로젝트의 관리나 롤백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깃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깃허브나 깃랩등의 서비스를 사용한다. 1) 깃 간단 구조 우선 내 폴더에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코드를 구현해나간다. 이때 저번에 쓴 코드로 돌아가고 싶거나, 많은 사람이 한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고 싶을텐데. 이걸 깃이 해결해준다. 2) 깃의 기본 진행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파일을 생성한다. - 스테이지에 올린다. - 커밋한다. - 원격 저장소에 푸시한다. 3) 깃의 대표 명령어 cd C:\Users\IME17\Desktop\PatternRecognition #주어진 폴더로 이동한다 git clone https://github.com/BaekSohyeon0420/Quiz.git #해당 폴더에 Quiz ..